본문 바로가기

화장품 법규 공부4

기능성 화장품 법으로 배우는 화장품 효능 성분 및 종류 우리나라 화장품 법에서 "기능성 화장품"이라는 카테고리가 존재하는데, 이 기능성 화장품 제도가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을 특징짓는 역할을 하고 있다. "기능성"이라는 단어와 같이 화장품의 효능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을 법으로 정해 놓았다. 효능 효과를 너무 과장해서 의약품으로 오인되지 않기 위한 단어가 "기능성"이다. 1. 기능성화장품이란? - 기능성 화장품의 대표적인 예는 "자외선 차단제", 소위 선크림, 선스크린이 있다. 미국이나 호주, 캐나다의 경우 이 제품은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된다. 그만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큰 화장품이다. 그러나, 모든 기능성 제품이 다 효과가 뛰어난 것은 아니다. - 때문에 법으로 기능성 화장품 종류에 속하는 제품들은 정해진 틀 안에서 효능 효과를 광고할 수 있다. 하지만, 화장.. 2022. 4. 13.
화장품 정보 파일 PIF (Product Information File) 구성 개요 화장품 정보 파일 PIF (product information file), 간단히 PIF 파일은 화장품 제품에 대한 모든 정보를 모아 놓은 파일을 이야기한다. 유럽이나, 아세안 국가들, 중국의 국가에서는 화장품을 신고, 등록, 허가를 해 주는 데 있어서 개별 제품의 이 서류들을 기반으로 신청을 하게 된다. 화장품을 제조 관리하는 사람으로서는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부분이다. 1. PIF (Product Information File)의 구성 PIF 파일은 총 4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adiministrative part 로 편의상 요약 파트로 부른다. 두 번째는 원료 파트, 세 번째는 제품 파트, 4번째는 효능 및 안전성 파트이다. 파트마다 어떤 종류의 서류들이 속하게 되는지 살펴보겠다... 2022. 3. 25.
이니스프리 선스크린 선택 방법. (feat.화장품법) 이니스프리 선크림 제품 중에 좋은 제품을 고르는 법을 이야기해보겠다. 이니스프리 브랜드 내에서 고른다는 것이 좀 이상하게 들리는 이야기이지만, 소비자로서는 알아두어야 할 내용이 있다. 작년 외국에서 k-Beauty를 알리던 브랜드의 선크림이 어느 기관에서 실험 결과, 광고하는 자외선 차단지수에 한참 모자라게 나오는 사건이 있었고, 이에 국내에서도 한 기관이 나서서 이맘때 조사한 결과, 많은 선크림이 표시된 자외선 차단 지수만큼 효과가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제품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그러나, 이런 문제가 잊을만하면 한 번씩 나오지만, 사실 알게 모르게, 생각보다 많이 일어난다고 보고 있다. 때문에 이니스프리 톤업 워터링 선스크린을 예로써, 이니스프리 브랜드 내에서도 소비자가 신.. 2022. 1. 21.
"화장품 자율 표기" 법 개정안에 대해서. 자율에는 책임이 따른다. 화장품 관련 기사는 언론에 크게 나오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 소비자들이 모르고 지나가기 딱 좋다. 요즘 나름 가장 핫한 이슈는 화장품 자율표기 실시라는 내용인가 보다. 내용은 현행법상 판매원과 제조원이 다른 경우 둘 다 표시를 해야 하는데, 이 것을 판매원만을 표시하고 싶다는 것이다. 이 내용은 2011년 대대적으로 화장품법 개편 때에도 올라갔던 내용인데, 위탁 생산 업체의 반발로 변경되지 못한 내용이다. 1. 배경 화장품은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정말 많은 품목을 만들어서 판매해야 하는데, 이러한 제조시설과 능력을 다 가진 회사는 찾아보기 힘들다. 엘지 생활 건강이나, 아모레퍼시픽 정도 있을 것이다. 때문에 많은 화장품 브랜드들이 생산만 전문으로 하는 기업들하고 손을 잡고 일을 한다. 생산만하는 전.. 2021. 7. 14.